안녕하세요 오늘은 HMR 시장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HMR이란 HOME MEAL REPLACEMENT로 간단하게 말해서 가정간편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가정간편식이란 말은 여러분들에게 어렵게 와 닿을 수 있는데, 간단하게 말해서 햇반이나 3분 카레 등을 가정간편식이라 볼 수 있습니다.
가정간편식의 성장 요인
이러한 가정간편식 시장이 계속해서 상승하고 있는 추세인데요. 여러분들은 그 이유를 혹시 아시나요? 물론 수많은 요인들이 있지만 가장 큰 요인을 말하자면, 바로 인구 고령화와 여성의 경제활동과 1인 가구의 증가 때문입니다. 이 요인들에 대해 말씀드리면 이요인들은 집에서 있는 시간이 적어서 직접 요리하기가 힘들다는 특징이 있는데요. 이러한 이유로 HMR 시장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가정간편식의 분류
가정 간편식의 분류로는 크게 RTE, RTH, RTC, RTP로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한 가지씩 자세히 설명드리자면
RTE(Ready To Eat) 즉석섭취식품 : 별도의 조리 없이 바로 섭취 가능한 음식 Ex) 도시락, 김밥, 샌드위치
RTH(Ready To Heat) 즉석조리(완조리)식품:전자레인지나 뜨거운 물에 데운 후 섭취가 가능한 음식 Ex) 햇반, 즉석죽 등
RTC(Ready To Cook) 즉석조리식품(반조리) 식품 : 장시간 데우거나 간단한 조리 과정이 필요한 음식 Ex) 냉동만두, 냉동 돈 까스등
RTP(Ready To Prepare) : 손질이 다 된 식재료와 분량의 양념, 레시피가 동봉되어 직접 조리도 어렵지 않게 만든 제품
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가정간편식의 시장 규모
앞서 HMR 시장의 분류를 설명드렸는데, 이번에는 HMR 시장 규모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HMR 시장은 11년 8000억이며 18년도에는 약 3조를 달성하여 7년 만에 시장규모를 약 4배 가까이 성장하여 최근 7년간 연평균 17.3% 성장세를 띠고 있고 있습니다. 식품업계에서는 최저임금 증가와 주 52시간 근무제등의 인건비 문제로 계속해서 적자를 보이고 있지만 HMR 시장은 계속해서 흑자를 보이고 있어, 최근 식품업계의 트렌드는 "모든 제품을 HMR화 하자!"로 바뀌고 있습니다.
그 단적인 예로 작년 11월 ‘2019 식품·외식산업 전망대회의 이용선 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여성의 사회적 진출이 더욱 활발해짐에 따라 갈수록 가정에서 음식을 만드는 시간이 부족해지고 있어 결국 식품은 간편한 조리 형태로 갈 수밖에 없다”며 “이러한 소비 트렌드에 따라 앞으로 HMR 개발 방향은 소스와의 결합을 통한 시간 최소화, 고품질 프리미엄 제품들이 각광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전망했습니다. (출처:https://www.thinkfood.co.kr/news/articleView.html?idxno=82744)
이는 즉, 가정간편식의 역사 사진에 보이듯이 이제는 HMR 시장이 간편한 것을 넘어 건강과 맛까지 챙기는 프리미엄 제품이 현재 각광받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HMR에 대해 설명드렸는데, 저는 학생이기에 간편하게 먹는 것을 좋아해 HMR 제품을 자주 이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HMR 제품이 프리미엄이 붙어 가격이 높아지고 있어, 그 부분이 아쉽게 적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예전 HMR 제품이 건강과 맛보다는 편의성을 추구하는 대신 건강에는 좋지 않다는 인식이 많았지만 최근에는 편의성과 건강과 맛을 추구하는 대신 가격이 높아져, 이러한 부분에 대한 인식이 좋아지고 있어서 HMR 시장의 성장세는 계속해서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이상으로 알쓴신잡이었습니다!
'도시락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GS25 기사님도 반한제육 도시락 리뷰 (0) | 2019.11.30 |
---|---|
GS25 춘천식 닭갈비 도시락 리뷰 (0) | 2019.11.26 |
GS25 도시락 찬호's 투머치 찬많은 도시락 리뷰 (0) | 2019.11.20 |
한국의 도시락역사 (0) | 2019.10.29 |
GS편의점 도시락 스팸 & 닭강정 도시락 리뷰 (2) | 2019.10.07 |